큰 가동성 때문에 어깨의 적합성은 인대만으로는 얻을 수 없게 됩니다. 근육의 작용이 필수적으로 작용해야 하며 이러한 그룹은 2개의 그룹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바로 1. 가로 근육군 과 2. 세로 근육군이 그것입니다. 가로 근육군은 몸의 가로축을 지나는 근육이고, 2) 세로 근육군은 몸의 세로축을 지나는 근육입니다.
1. 가로 근육군은 그 방향으로부터 위팔뼈머리를 어깨띠 관절오목으로 꽉 누르는 역할입니다
2. 세로 근육군은 팔을 지지하고 손에 무거운 물건을 들었을 때의 아래쪽으로의 탈구에 대항하는 근육군입니다. 이들은 위팔 빼 머리를 관절오목 정면으로 "당겨 제자리로 돌아가게 만드는 역할"을 수행하는 근육입니다. 그러므로 세로 근육군이 불충분하거나 마비되어 있으면 "처진 어깨"증후군이 일어나는 것은 당연지사일 것입니다. 반대로 이들이 우세한 경우, 위팔 때 머리의 위쪽으로의 탈구에 대해서 가로 근육군의 "구심성"의 작용이 저항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들 2개의 근육군에는 길항근-협동근의 관계가 성립하고 있습니다.
1. 가로 근육군
가로 근육군은 4개로 구성됩니다. 바로 가시위근, 가시아래근, 작은 원근, 어깨밑근입니다. 이는 회전근개 Rotator cuff의 구성요소입니다.
뒤에서 본 가로 근육군의 모습입니다.
1) 가시위근 : 어깨뼈의 가시위오목(극상과)에서부터 시작하고, 큰결절의 윗면에 부착하여 끝나고 있습니다.
2) 가시아래근 : 가시아래오목(각하와)의 위쪽 부분에서부터 시작하고. 큰결절의 뒤 윗면에 부착하여 끝나고 있습니다.
3) 작은원근 : 가시아래오목의 아래쪽 부분에서부터 시작하고. 큰결절의 뒤 아랫면에 부착하여 끝나고 있습니다.
앞쪽에서 본 가로 근육군의 모습입니다.
1) 이미 언급한 가시위근
2) 어깨밑근(견갑하근) 강력한 근육이며 어깨뼈의 갈비뼈면 전체에서부터 시작하고. 작은결절에 부착하여 끝나고 있습니다.
3) 위팔두갈래근 긴 갈래 힘줄 : 어깨뼈 관절오목 위 결절에 부착하여 시작하고 있고. 결절사이고랑에서 다시 굽어있기 때문에 손에 의한 물정의 들어 올림으로 팔꿈치가 굽는 것과 동시에 되돌림 효과"에 의해서 수평 방향 의 적합성에 꼭 필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관절의 바로 위에 있는 가시위근과 위팔두갈래근 긴 갈래 힘줄입니다. 이들은 관절의 위쪽의 버팀벽"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2. 세로 근육군
뒤쪽 면에서는 세로 근육군이 3개 있습니다.
1) 어깨세모근 : 가 쪽의 2개의 섬유 다발과 뒤쪽섬유 다발. 이것은 벌릴(외전) 때 위팔 머리뼈를 들어 올리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2) 위팔세갈래근은 긴 갈래에 의해서 어깨뼈 관절오목 아래 결절에 부착하여 있습니다. 이것은 팔꿈치를 펼 때 위팔뼈머리를 관절오목으로 당겨서 해부학적 자세로 되돌리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앞쪽에서는 세로 근육군이 보다 많이 관찰되고 그 안에는 이미 말씀드린 것도 있습니다.
1) 어깨세모근 가쪽의 2개의 섬유 다발과 앞쪽 빗장뼈 부분이 있습니다.
2) 위팔두갈래근 긴 갈래 힘줄 부리돌기에 부착하여 있는 짧은갈래가 부리위팔근(오훼상완근)의 곁에 있습니다. 이것은 팔꿈치와 어깨의 굽힘(굴곡) 시기에 위 필 예뻐 머리를 위쪽으로 당겨 해부학적 자세로 돌아오게 만드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3) 큰가슴근(대흉근)은 그 빗장뼈 부분에 의해서 어깨세모근의 앞쪽 섬유 다발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특히. 어깨의 굽힘과 모음에 관여하는 근육입니다.
세로 근육군의 우위성은 장기적으로는 뼈머리와 봉우리 사이의 쿠션 역할을 수행하지만'의 근육을 소모할" 수 있고. 또한 그 안에 있는 것, 특히, 가시위근의 파열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위팔 삐 머리는 봉우리(견봉)와 부리봉우리인대(오훼견봉인대)의 아랫면과 직접 충돌하게 되어 고전적으로는 어깨관절주위염이라 불리며 현재는 "충돌증후군"이라 표현되는 통증이 발현되게 됩니다.
결국, 어깨를 안정화하는 데는 가로 근육군인 회전근개뿐만 아니라, 세로축에 존재하는 어깨세모근, 위팔두갈래근, 큰가슴근 등이 사용됩니다. 일반적인 임상에서는 회전근개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잘못된 방향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당연히 회전근개도 중요하지만, 여러 근육의 움직임이 조화, 협응 과정이 더 중요하기도 합니다. 임상에서 수행하던, 운동하는 순간이던 움직임의 조화에 조금 더 집중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물리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절생리학 1.9 관절내의 위팔두갈래근 긴힘줄 (0) | 2023.06.19 |
---|---|
관절생리학1.8 어깨의 관절주머니 (1) | 2023.06.16 |
관절생리학 1.7 어깨관절의 관절면 (0) | 2023.06.14 |
관절 생리학. 1.6 어깨의 관절 복합체 (2) | 2023.06.14 |
관절 생리학. 1.5 어깨(shoulder)의 기능평가를 위한 운동 (0) | 2023.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