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에서의 축돌림은 어깨가 어떤 위치에 존재하더라도 가능합니다. 이것은 어깨관절의 오목위팔관절에서 나타나며, 이 관절이 자유도3인 관절이기 때문입니다. 축돌림은 안쪽돌림, 가쪽돌림 그리고 수평면에서의 어깨 끝 움직임 있습니다. 또한 안쪽돌림은 30도, 가쪽돌림은 80도 정도 나오게 됩니다.


오늘은 아래의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기준자세는 무엇인가
-가쪽 돌림에 대해서
-안쪽 돌림에 대해서
-수평면의 어깨 끝 움직임에 대해서 
  

-기준자세란 무엇인가

팔의 축돌림은 어깨가 어떠한 위치에 존재하더라도 가능합니다. 이것은 오목위팔관절이 3개의 운동축과 3개의 자유도를 가진 관절이기 때문이며, 이 관절에서 나타나는 움직임이 수의적 또는 부수의적 돌림의 움직임 때문입니다. 이 돌림의 정도는 보통 위팔을 몸통에 붙인 후, 아래로 늘어뜨린 기준자세(해부학적 자세에서 팔을 몸통에 붙인 자세)에서 측정됩니다.

기준자세는 안쪽 • 가쪽돌림의 각도가 0도인 것을 의미하며 시작 자세를 의미합니다. 돌림의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팔꿈치를 90°로 굽히고(elbow flexion 90도), 아래팔을 시상면 내에 두는 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만약 그렇게 수행하지 않는다면, 위팔의 안쪽돌림, 가쪽돌림에 아래팔의 엎침/뒤침이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고, 이는 제대로 된 안쪽돌림과 가쪽돌림의 측정을 불가능하게 합니다. 그러므로 자연스러운 자세에서(손바닥이 하늘을 보게 한 자세에서)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므로 아래팔이 시상면에 놓이는 이 기준자세는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실제로 가족 돌림을 수행하는 근육이 이 자연스럽게 나타나게 유지되는,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가장 흔히 사용되는 시작 자세는 기준자세에서부터 30° 안쪽돌림을 한 자세이며 손은 몸통의 앞에 위치하게 됩니다. 이 자세는 다른 말로 생리적 기준자세라 불립니다.


-가쪽돌림에 대하여

가쪽돌림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인 가동범위는 80°까지 움직일 수 있지만, 90°에 도달하지 않습니다. 만약 도달한다면 잘못된 측정이거나, 근육, 인대의 늘어짐이나 병변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몸통을 따라서 팔을 아래로 늘어뜨려 80° 가쪽돌림을 하는 자세는 일반적인 움직임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가장 흔히 사용되는 상황인 일상생활 동작에서는 기능적으로 중요한 생리적 기준자세(안쪽돌림 30°)와 고전적 기준자세(돌림 0°)를 포함하는 부채꼴의 범위에서 많이 일어납니다.


-안쪽돌림에 대해서

안쪽돌림의 일반적인 가동범위는 100~110° 까지 수행가능합니다. 그러나 어깨를 약간 펴고 아래팔을 몸통의 뒤쪽으로 돌릴 필요가 있습니다. 이 운동은 손을 등으로 가져가는 데에 반드시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만 합니다. 일례로 화장실에서 엉덩이를 닦는 동작을 수행할 때, 동일한 움직임이 나타나게 됩니다. 안쪽돌림의 최초의 90°는 필수적으로 손이 몸통의 앞쪽에 머무르고 어깨의 굽힘을 동반한 움직임이 나타나게 됩니다. 기준자세 이외에서 나타나는 자세에서 안쪽돌림은 수행했을 때, 위팔의 축돌림은 극좌표의 시스템이나 자오선의 검사에 의해서 외부에서는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돌림근은 각각의 자세에서 다른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어떤 것은 돌림의 움직임이 잘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고, 또한 어떤 근육은 움직임을 수행하기 위해서 활성화 되기도 합니다. 이것은 자세에 따라서 근육의 작용이 전환하는 법칙 중 하나이므로 매 움직임마다 어떤 근육이 나타나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수평면에서의 어깨 끝의 움직임

이들의 움직임은 어깨가슴관절을 가동하게 됩니다.
a) 기준자세는 어깨를 뒤로 보내어 열중쉬어 자세에서 어깨가 뒤로 움직인 만큼 유지한 자세를 기준자세로 잡습니다.
b) 어깨 끝의 뒤쪽 이동은 몸통의 회전이 동반하여 나타나게 되며, 이 자세는 어깨를 더 뒤로 움직이기 위하여 몸통이 움직임이 동반되어 나타난 자세를 의미합니다.
c) 어깨 끝의 앞쪽 이동은 기준자세에서 어깨뼈만이 앞으로 움직인 (Scapular protraction) 자세를 의미합니다.



각 움직임을 비교해 보면, 앞쪽 이동 쪽이 뒤쪽 이동보다 크다는 것을 인지하여 측정 시 주의를 가해야 합니다. 이들에는 다음의 근육이 일반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앞쪽 이동 : 큰가슴근 (대흉근), 작은가슴근(소흥근) 앞톱니근(전거근).
• 뒤쪽 이동 : 마름근(능형근), 등세모근(승모근)(수평섬유다발), 넓은 등근(광배근).

+ Recent posts